Filter, Interceptor, AOP in Spring

  4 mins read  

#Spring에서 Filter, Interceptor, AOP 사용하기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하다보면 공통 처리가 필요한 부분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로그인 세션 및 권한 체크, 로깅, 페이지 인코딩, 디바이스에 따른 분기처리 등이 있다.
이러한 작업들을 처리할 때 페이지 하나마다 따로따로 처리하게 되면 상당히 비효율적인 설계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런 작업은 공통으로 처리해주어야 한다.
Spring에서 이러한 공통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은 Filter, Interceptor, AOP 가 있다.

그렇다면 어떤 걸 사용해야 할까? 위 세가지의 용도는 발동 시점에 따라 나뉜다.

Filter, Interceptor, AOP 출처: https://velog.io/@damiano1027/Spring-Spring-MVC-Request-Lifecycle
위 사진을 보면 순서를 알 수 있는데, 발동 순서는 간단하게 나타내면 Request -> Filter -> Interceptor -> AOP -> Interceptor -> Filter -> Response 순이다.

Filter는 스프링 외부에서 request와 response의 해당하는 작업을 가로채서 공통적인 처리를 할 수 있다.

우선 Filter를 구현하기 위해 클래스를 하나 만들었다.

Filter, Interceptor, AOP
javax.servlet.Filter를 상속받고, Filter 아래의 init, doFilter, destory 메소드도 Override 했다.
여기서 init() 메소드는 필터를 웹 컨테이너에 생성 후 초기화할 때 호출한다. 서버를 실행하면 서블릿이 올라오는 동안 실행된다.
doFilter() 메서드는 요청(Request)와 응답(Response)의 한 쌍이 체인을 통과할 때마다 컨테이너에서 호출된다. 또한, 여기서 실제 처리 로직을 구현한다.
destroy() 메소드는 서버를 종료할 때 같이 소멸된다.

Filter, Interceptor, AOP
이렇게 만든 Filter는 웹 Web Application 설정이기 때문에 web.xml에 등록한다.

filter-name 과 filter-class로 매핑시켜 준 후 filter-mapping 에서는 범위를 모든 요청(/*)으로 설정했다.

설정해준 후에 서버 API에 요청을 했다.
Filter, Interceptor, AOP
요청이 들어온 후 DispatcherServlet으로 가기 전에 가장 먼저 Filter의 doFilter() 메소드를 거치는 것을 볼 수 있다.

Filter에서는 Spring이 아닌 전반적인 Web Application에서의 Config나 Validation을 수행하는것이 좋을 것 같다. (인코딩, XSS 처리 등)

Filter, Interceptor, AOP
그다음 Interceptor를 구현하기 위해 클래스를 생성했다.
HandlerInterceptorAdapter 객체를 상속 받았는데 postHandle, preHandle, afterConcurrentHandlingStarted, afterCompletion 메소드가 내장되어 있고 원하는 메소드를 Override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preHandle과 postHandle을 받아서 사용했다.
preHandle()과 postHandle()은 각각 요청을 처리하는 Handler의 전후에서 발동되는 메소드이다.

생성해준 클래스는 servlet-context.xml에 등록해주었다.
Filter, Interceptor, AOP
mvc:interceptors 태그안에 bean으로 interceptor를 등록해 줄 수 있다.

Filter, Interceptor, AOP
역시 서버 요청을 했을 때 preHandle()과 postHandle()이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으로 매핑된 Handler(ideatec.edu.spring.frwk.tomcat.controller.MessageController)의 실행 전 후에 발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OP는 기존의 OOP와 목적은 공통 코드를 가져다 쓰는것에서는 같지만 AOP에서는 IoC(제어 역행)이 적용된다는 점은 다르다.
이는 공통 기능의 코드를 개발자가 직접 넣어주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나 관련 라이브러리가 지정된 메소드에서 공통 관심사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통 관심사가 언제 어디에 필요한지 설정해줘야 한다.

Aop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아래와 같다.


Joint Point : 모듈을 삽입하여 동작하는 특정 위치(Method 등)

Point Cut : 다양한 Joint Point 중에 어떤 것을 사용할지 선택

Advice : Joint Point에 삽입되어 동작할 수 있는 코드

Weaving : Advice가 핵심 로직에 적용되는 것

Aspect : Point Cut + Advice



일단 TestAop 라는 클래스에 Advice들을 만들어 줬다.
Filter, Interceptor, AOP
위의 메소드는 각각 아래의 상황에서 실행된다.


before : 메서드 호출 전에 동작하는 Advice

after-returning : 예외 없이 호출된 메서드의 동작이 완료되면 동작하는 Advice

after-throwing : 호출된 메서드 동작 중 예외가 발생했을 때 동작하는 Advice

after : 예외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호출된 메서드의 동작이 완료되면 동작하는 Advice

around : 메서드 호출 전과 후에 동작하는 Advice




Filter, Interceptor, AOP
위에서 만든 클래스를 servlet-context.xml에 bean으로 등록하고 aop:config 태그에 설치한 aop:aspectj 태그에 참조로 설정했다.
aop:pointcut의 expression에는 execution(* test()) 라고 설정했는데 executin 자리에 올 수 있는 것은 아래와 같다.


execution - Advice를 적용할 메소드를 명시

within - 특정 타입에 속하는 메서드를 명시

bean - 스프링 빈을 이용하여 명시



execution은 { execution([수식어] 리턴타입 [클래스이름].이름(파라미터) } 과 같이 표현될 수 있는데, 위의 execution(* test()) 는 메소드명이 test()인 메소드가 호출될때 실행되는 것이다.

그다음 이름이 test()인 메소드를 호출했다.

Filter, Interceptor, AOP
그후 실행했을때 호출한 메소드인 test()가 실행되기 전후에 before() -> around() -> 실제 호출한 메소드 -> afterReturning() -> around() -> after() 순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Throwing()은 Exception이 발생한 후에 동작을 해줄수 있다.

Filter, Interceptor, AOP
일단 exception을 발생시킨 다음, 다시 호출 해보았다.

Filter, Interceptor, AOP
Exception이 발생했을 때 afterThrowing()이 실행되며 advice인 에러 출력을 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 img

jay

Read more